임대기간 만료일이 다가오면 최소한 만료 60일 이전에 집주인에게 서면으로 만료의사를 통지하면 종료일에 해지할 수 있다. 만일 무심코 계약기간이 끝나버린 경우엔, 이미 월단위로 매달 자동갱신되는 새로운 임대차관계로 전환되어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 경우에도 희망하는 계약종료일자로부터 최소한 60일 이전에 집주인에게 서면으로 통지를 주되 '종료일'은 반드시 '매달 말일'이 되어야 한다.
임대차 계약기간이 만료되기 전에 주택을 구입하든지 다른 곳으로 이사를 가야 할 경우에는, 임대차권리의 양도(assignment) 또는 서브렛( sub-let )의 방법을 이용할 수 밖에 없다. 서브렛(Sublet)은 원계약의 일부 기간이나 일부공간만을 대상으로 집주인의 동의를 구한 뒤 제3자에게 임차권을 양도하는 것을 말하며, 양도(assignment)는 원계약서 전체를 집주인의 동의 하에 제3자에게 넘기는 것이다. 이 경우, 원계약의 만료일까지는 새로운 세입자가 된 그 제3자의 월임대료 미납 등에 대하여 법률상 원계약자(원래의 세입자)가 연대책임을 지게 된다. 한편, 서브렛의 경우엔 원래의 세입자는 집주인의 입장이 되어 실제 원주인과 같은 권리와 의무를 새로운 세입자(Sub-Tenant)에 대해 갖게 된다는 점이 양도(assignment)와 다른 점이다.
그 외에 세입자가 임대차계약을 중도에 해지할 수 있는 경우는, 주거에 적합한 환경을 유지해 주지 않거나 자물쇠를 멋대로 바꾸고 세입자에게는 열쇠를 주지 않는 경우, 관리인 등이 함부로 임대한 공간에 들어오거나, 생활에 꼭 필요한 식품 등의 공급이나 배달을 방해하는 경우, 그리고 전기,수도,가스등의 공급을 제대로 하지 않는 경우 등이 있는데, 이 때에는 세입자가 주택임대차 중재재판소에 계약의 해지를 허가해주도록 요청할 수 있다, 온타리오주의 주택세입자보호법에 따르면, 집주인은 주거에 적합한 환경을 유지해 중 의무가 있다.
세입자가 임대계약을 해지할 수 있는 경우

허진구 칼럼

주택가격이 올라갈 동네를 미리 알려주는 8가지 조짐

온타리오주의 "부동산 중개인" 제도

콘도가격이 내려갈 조짐을 알려주는 징후 10가지

상가 임대차 관련규정과 상식

주택의 형태별 장단점 비교

상업용 임대차와 주거용 임대차의 차이점

주거용 건물의 임대료 인상관련 규정

임대주택에 살 때에도 주택보험이 필요한 이유

계약만기 전에 서브렛을 놓고자 하는데 집주인이 비협조적인 경우

주택구입자를 위한 특별지원제도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카티지의 투자환경과 상품의 특성

주거용 건물 투자의 특성

주택을 구입할 때 이웃주민들로부터 직접 정보를 얻는 요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