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임대차법" (Residential Tenancies Act) 과는 달리 상업용 임대차계약에는 정부의 강제적 개입을 통한 세입자 보호장치가 없고 시장원리에 입각하여 문제를 당사자 상호간에 풀어나가게 되어있다. 주택임대차의 경우에는 당사자간에 합의한 주택임대차계약서가 '주택임대차법'과 서로 어긋나는 경우에는 이 법률이 이 우선 적용되지만 상가의 임대차계약서와 상업임대차법의 내용이 서로 다르면 당사간의 계약이 우선 적용된다. 결국, 분쟁이 발생하면 공공성을 지닌 중재기관이 따로 없으므로 가능한 한 빨리 변호사와 대응책을 상의하는 것이 좋다. 관련법률은 온타리오주 정부가 1990년에 최종개정한 "상업용임대차법" (Commercial Tenancies Act) 인데, 건물주와 점포세입자의 권리와 의무 등을 각각 상세하게 규정해두고 있다.
점포 임대차계약과 관련된 상업임대차법

허진구 칼럼

주거용 부동산을 구입하면 세입자보호법을 알아야 한다.

광역토론토지역의 주거환경 통계

임대주택에 살 때에도 주택보험이 필요한 이유

주택구입자를 위한 특별지원제도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나에게 맞는 비즈니스 업종 선택요령

내놓은 집이 안 팔리는 이유는?

부동산 구매계약이 법률적으로 유효하기 위한 충족요건

모기지 대출 (집을 담보로 한 주택구입 장기대출) 상식 총정리

주택매각관련 비용과 세금(Tax)

살던 집을 먼저 팔아야하나, 이사갈 집을 먼저 사야하나?

집주인이 임대계약을 거절할 수 있는 경우

살던 집을 먼저 팔아야하나, 이사갈 집을 먼저 사야하나?

주택관련 비용과 세금(Tax) 총정리